서울 외지인 거래 비중 26.6%,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
“다주택자 규제로 똘똘한 한 채 찾는 외지인 수요 늘어”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은 줄었지만, 외지인 거래 비중이 눈에 띄게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출규제를 덜 받는 6억원 이하 가구들이 밀집된 지역들을 중심으로 외지인 거래 비중이 늘어나며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한국감정원이 주택매매 매입자를 거주지별로 분석한 결과, 1분기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4만9810건 중에서 외지인 거래 비중은 26.6%를 차지했다. 이는 2006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또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3.7%p 커졌다. 경기도도 11.5%로 지난해 1분기 대비(10.8%) 소폭 늘었다.
문제는 외지인 거래가 많거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주택가격도 상승했다.
올해 1분기 외지인 거래량 1위는 노원구(978건)로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데다 재건축 가능 연한(준공 30년)을 갖춘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투자 관심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이어 대출규제를 덜 받는 6억원 이하 가구들이 많은 강서구(939건), 성북구(892건), 은평구(867건), 구로구(804건) 순이었다.
이들 지역은 최근 두 달(3~5월) 동안 아파트 매매가격이 구로구 0.5%, 은평구 0.4%, 노원구0.4%, 성북구 0.2%가 올라 서울 평균(0.1%)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더욱이 강남권은 최근 급매물이 줄어들면서 하락폭이 둔화됐으나, 강남4구의 외지인 거래 비중은 지난해 4분기 대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강남4구의 외지인 거래 비중은 전 분기 대비 3.1%p 커진 29.2%를 차지했다. 강남4구 중 송파구(30%)가 강동구(29.4%), 강남구(29.3%), 서초구(28.1%)보다 외지인 거래가 비중이 많았다.
지방광역시 사람들의 상경투자는 경기도에서도 이뤄졌다. 지방광역시 거주자들이 경기도에서 구입한 주택 매매거래량은 1만2275건으로 지난해 4분기 대비 35% 증가했다. 1분기 동안 1000건 이상 거래된 지역은 수원, 화성, 용인, 부천 등이다.
전문가들은 대전, 광주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지방·광역시 주택 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있고,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외지인 수요가 강남권과 서울을 중심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미윤 KB부동산 리브온 전문위원은 “1분기에 이어 4월에도 수도권 지역에서의 외지인 거래 비중은 커지고 있다”며 “대출규제를 덜 받는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된 지역과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던 곳, 지하철, GTX 등 개발 호재를 갖춘 지역 등에서 외지인 거래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도권 주택시장이 안정기에 들어섰는지 아직 체감하기 어렵다”며 “수도권에서 지방광역시 타 지역 사람들의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집값 향방을 좌우할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과도한 규제로 오히려 시장에서는 상경투자와 같이 비정상적인 거래가 나타나고 있다”며 “외지인 거래는 실수요보단 투자 수요로 해석된다. 상경투자가 증가한 현 시장을 볼 때 과연 정부가 원하는 실수요자의 시장으로 가고 있는지도 의문이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