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기업 영향 조사
국내 대기업 10개 중 6개 “러시아 침공 부정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고 미국, 유럽연합(EU) 등 서방 국가의 제재가 현실화됨에 따라 한국 기업의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열 중 여섯인 60.8%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조사는 국내 매출 1000대 제조기업 153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러시아 및우크라이나와 투자‧교역 관계에 있는 기업 열 중 아홉(89.8%)은 이번 사태로 인해 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하여, 우리 기업들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원인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증대(50.5%) ▲환율 변동성 상승 및 자금 조달 애로(17.9%) ▲부품 수급 애로 및 생산 차질(15.1%) ▲러시아‧우크라이나 및 인접국에 대한 수출 위축(11.5%) 등을 응답했다.
이들 기업들 중 4분의 1(25.1%)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특별한 대응방안이 없다고 응답했다. 다른 기업들은 대응방안으로 ▲주요 원자재‧부품 선구매 및 충분한 재고 확보(33.0%) ▲부품 수급 문제 해소를 위한 공급망 다변화(22.9%) ▲교역 위축에 대응한 대체 수출처 발굴(12.2%) 등을 제시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원자재 및 부품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기업들의 93.5%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원자재 및 부품 구매 단가가 전년 대비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상승을 전망한 기업들의 평균 원자재 및 부품 구매 단가 상승률은 8.1%에 달했다.
구매 단가 상승을 전망한 기업들의 53.8%는 원자재 및 부품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들의 평균 제품 가격 인상률은 6.1%였다.
한편, 기업들은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부품 수입 및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과반의 기업(57.5%)이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했으며, 37.3%의 기업은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대응하여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 ▲對 러 제재에 대한 신속한 정보 확보 및 공유(30.5%) ▲금융시장 및 외환시장 안정화(28.1%) ▲공급망 다변화 지원(19.6%) ▲대체 수출처 발굴 지원(16.1%) ▲러시아, 우크라이나 및 인접국 현지 시설‧인력에 대한 안전 확보(5.0%) 등을 지목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현재 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있는 것은 미국 등 서방국가의 對러 제재가 광범위하고 복잡하다는 점”이라며 “정부가 對러 제재에 관한 내용을 기업에게 신속‧정확히 공유하여 기업들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