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새 정부가 낙관할 판 아냐
공천, '논공행상'으로 이뤄져선 안돼
지난해 4·7 재보궐선거 공천 때처럼
중도 확장력 강한 '이기는 공천' 해야
국민의힘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회부의장을 맡고 있는 5선 중진 정진석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번 지방선거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국민의힘에 갖는 중요성은 이루 형용할 수 없다. 당초 정치권에서는 6·1 지방선거는 3·9 대선에서 이긴 편이 그냥 쓸어담는 '전리품' 선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5월 10일 새 대통령 취임으로부터 불과 3주 뒤에 지방선거가 치러지는 탓에 '허니문 기간'과 취임 직후 새 대통령에 대한 높은 기대를 바탕으로 집권여당이 압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3·9 대선은 불과 0.8%p 차의 미세한 접전 끝에 승부가 갈렸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인사권 행사 문제 등을 놓고 신구 권력은 갈등을 빚고 있다. 게다가 향후 국무총리와 초대 내각 인선이 본격화하면 '먼지털이'식 흠집내기를 통해 새 정부와 거대 야당은 대립각을 세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정국이 냉각되면 각자의 지지층이 결집하게 되고, 지방선거는 새 집권 세력이 결코 낙관할 판이 아니게 될 것이다.
국민의힘 전신 자유한국당이 2018년 지방선거에서 워낙 크게 패했었기 때문에 그 때보다야 약진하는 성적표를 받겠지만, 새 정부가 전통적 지지 기반인 영남을 되찾는 것만으로는 국정운영의 추동력을 얻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지방선거의 승패는 인천·경기와 충청권, 그리고 강원에 달렸다. 이들 지역에서 광역단체장을 가져오지 못하면 새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거대 야당에 끌려다닐 우려가 있다.
그런데 지방선거 공천을 앞두고 정치권 일각에서 이상한 소리들이 들려온다. 누가 대선 기간에 무슨 공로를 세웠으니 어디 후보로 공천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여과없이 터져나오고 있다.
공공기관이나 공기업 임원 인사를 할 때, 대선 때의 공로를 저울질할 수는 있다. 내각이나 청와대 비서실 인선에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직선거 후보자만큼은 절대 논공행상의 장으로 전락해서는 안된다. 공직후보는 국민이 뽑아줘서 당선돼야 의미가 있는 것이지, 후보로만 그치면 본인에게도 아무 것도 아닐 뿐더러 새 정부에도 상처로 남기 때문이다.
공천 관리는 철저하게 본선에서의 당선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당선 가능성은 본선에 해당 후보가 출마했을 때 얼마나 득표력이 있는지, 특히 중도층을 상대로 얼마나 확장력이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다. 내부에서 끼리끼리 '하는 짓이 예쁘다'며 공천을 준들, 일반 국민이 표를 주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정진석 위원장은 지난해 4·7 서울시장·부산시장 재·보궐선거 때도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다. 당시에는 국민의힘이 2016년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 등 선거마다 연전연패했을 때였다.
대선을 한 해 앞두고 어떻게든 변곡점을 마련해야 하는 중차대한 상황에서 정진석 위원장은 당내 일각의 반발을 무릅쓰고 100% 국민공천을 뚝심있게 밀어붙였다. 중도층을 상대로 가장 득표력이 높은 후보를 공천해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선거 양쪽에서 '역대급' 압승을 이끌어냈다. 당시 서울의 승리가 이번 대선에서의 신승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시의 공천이 곧 대선 승리의 디딤돌을 놓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네 차례의 전국단위 선거 연패 끝에 이제 대선에서 한 번 이겼다고 국민의힘이 결코 교만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정진석 위원장은 이미 "'이기는 공천'을 공천의 제1원칙으로 삼겠다"며 "지방선거 압승을 위해 최고 경쟁력의 후보들을 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지방선거 출마 희망자들의 개별 전화는 받지 않겠다"고도 공언했다.
지금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에 요구되는 자세는 바로 이런 자세다. 좌고우면 외풍에 흔들리는 일 없이 오로지 본선에서 가장 득표력이 높은 후보, 중도 확장력이 가장 강한 후보를 공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공관위에서의 논의 끝에 마련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