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선관위, '1차 경선'에 민심 100% 반영 고려
'2차 컷오프' 거쳐 '양자대결' 치르는 방안도 고심
당내 "경선 흥행" vs "당 쪼개질 것" 의견 엇갈려
일부 잠룡들도 '반대' 의견…비대위 결정에 '주목'
국민의힘이 6·3 대선 후보를 뽑을 때 민심 100%를 반영하고, 양자대결을 도입하는 '경선룰'을 검토하면서 당내가 술렁이고 있다. 경선의 흥행을 위해선 두 방안을 도입하는 것이 최적이란 의견과 함께, 당이 분열할 수 있단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서다. 특히 일부 대권 잠룡들이 적접적으로 반발하는 의견을 표출하면서 당 지도부와 대선 준비 선거관리위원회가 룰을 결정하는데 부담감을 느낄 수도 있단 분석이 나온다.
9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대선 준비 선관위는 이날 당 사무처로부터 1차 컷오프에서 후보군을 4명으로 대폭 좁힌다는 구상을 보고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신 당헌·당규를 수정해 1차 예비경선에선 일반 국민 여론조사(민심) 비율을 100%로 설정해 출마를 원하는 모든 잠룡들에게 최소한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는 복안이다.
특히 선관위는 완전국민경선 등을 요구하는 일부 후보들의 목소리와 국민적 관심사를 극대화하기 위해 1차 예비경선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 없는 민심 100% 반영 안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TV조선 유튜브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야 민심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고, 민심에 따르는 경선만이 감동적인 드라마를 만들고 승리를 가져온다"며 "당 선관위가 이재명을 이기는 방식이 아닌 결정을 한다면 (출마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겠다"고 발언했다.
'민심 100% 룰'을 향한 부정적인 시선이 없는 것은 아니다. '역선택 방지조항'이 없는 만큼 야권 지지자들이 조직적으로 유입될 우려가 커지는 데다, 정책이나 비전보단 인물에 따른 '인기 투표'에 그칠 것이란 걱정이 대표적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당의 대통령 후보를 당원들의 손으로 뽑지 못하게 된다면 그 실망감은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라며 "이재명을 대통령으로 만들어야 하는 개딸들이 어떻게 움직일지도 모르지 않나. 그렇지 않아도 짧은 시간인데 굳이 도전적인 방식을 택해야 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선관위는 2차 컷오프를 거쳐 후보를 2명으로 압축해 본경선을 양자대결로 치르는 방안 역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잠룡들에게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토양을 1차 경선에서 마련해줘 전국민적인 관심을 달궈놓은 뒤, 실제로 야권 후보와 겨루는 후보를 선출하는데는 과반이 넘는 당원과 국민들의 동의를 얻은 후보를 선정하겠다는 취지에서다.
경선 기간 내 토론회는 총 3차례로 계획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두 명으로 압축된 본경선에서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를 50%씩 반영하는 기존 룰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경선으로 시작해, 마지막에는 당심으로 최종 후보를 낙점하는 구조다.
이 방안에서의 핵심은 후보를 2명으로 남긴채 '양자대결'을 치른다는데 있다. 당내 잠룡들 중 이 방안에 불편함을 느끼는 후보가 있어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양자 경선 운운은 탄핵 대선판을 모르는 사람들의 탁상공론"이라며 "원샷 4자 경선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시장은 "통상 대선 경선 후 봉합 절차가 많을 때는 석달가량 걸리는데, 이번처럼 탄핵 대선일 경우 본선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았고 양자 경선을 하면 감정이 격앙돼 경선 후 봉합에 시간을 보내다가 본선에 참패한다"며 "이재명 민주당 후보도 지난 대선 경선 후 봉합에 실패했고, 그 후유증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다.
당내에서도 선관위가 이같은 룰을 확정할 경우 '파격'에 가까운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11명의 후보를 1차 예비경선에서 8명으로, 2차 예비경선에서 4명으로 압축해 본경선을 치렀고, 본경선에서 1위를 하면 득표율과 상관없이 해당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했던 지난 2022년 대선의 경우와 간극이 꽤 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당내에선 이번 경선에서 무조건 이뤄내야 할 '컨벤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파격적인 경선 룰을 관철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또 다른 국민의힘 한 의원은 "이제 국면은 이재명을 막아야 한다는 쪽으로 넘어온 상황에서 당원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전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식의 경선 룰을 도입하는 건 분명히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대통령은 당원이 뽑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국민들에게 인정받아야 하는 자리다. 당원에게 기댄다는 심정 자체도 너무 안일한 만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추후 공은 지도부로 넘어간 상황이다. 호준석 국민의힘 선관위 대변인은 이날 첫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는 16일 1차 경선 진출자를 가리고 당의 최종 후보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는 5월 3일에 열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구체적 경선 일정, 방식은 10일 비상대책위원회에 보고해 결정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 선관위도 당내 반발을 고려해 논의사항을 확정하기 위해 11일 회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