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411만1000TEU 집계
‘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411만1000TEU 집계
올해 상반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된 항만 물동량이 총 7억8794만 톤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서는 1.0% 감소했다.
30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상반기 처리한 항만 물동량 7억8794만 톤 중 수출입화물은 6억7631만 톤, 연안화물은 1억1163만 톤이 처리됐다.
항만별 물동량은 포항항, 부산항은 전년 같은 기간 보다 각각 10.0%, 5.9% 증가했지만 목포항과 인천항은 각각 10.6%, 3.7%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기계류, 화공품은 각각 13.5%, 11.2% 증가한 반면, 모래, 철재, 시멘트는 각각 47.7%, 19.6%, 18.7% 감소했다.
올해 6개월간 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같은 기간(1358만1000TEU) 보다 3.9% 증가한 1411만1000TEU를 기록했다.
수출입화물은 일본,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국가 수출입 물동량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819만3000TEU를, 환적화물은 9.8% 증가한 577만4000TEU를 기록했다.
항만별로는 부산항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060만8000TEU로 집계됐다.
수출입화물은 호주·인도 및 동남아 국가 등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전년 보다 1.0% 증가한 510만1000TEU를 기록했으며, 환적화물은 미국(12.2%)·일본(10.2%)·중국(4.6%) 등의 환적 물량증가로 전년 보다 8.7% 증가한 550만7000TEU를 처리했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113만2000TEU를 기록했다. 수출입화물은 일본과 동남아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인해 0.9% 증가한 88만5000TEU를 처리했으며, 환적화물은 국적선사 화물증가와 부정기 화물유치로 43.4% 증가한 24만8000TEU를 처리했다.
인천항은 미국과 동남아 국가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151만 TEU(수출입 150만 TEU, 환적 1만TEU)를 기록했다.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5억1935만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억5322만 톤) 대비 6.1% 감소했다.
포항항, 대산항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인천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포항항은 철재 생산에 필요한 광석과 유연탄 등의 수입물량이 증가해 전년 대비 9.7% 증가했으며, 대산항은 주요 수출입 품목인 유류와 화공품 물량이 증가해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반면, 인천항의 경우 철재 수입물량과 바다모래의 연안 입항물량이 감소해 전년 대비 8.9%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화공품과 유류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 2.0% 증가한 반면, 철재는 27.6% 감소했다.
화공품은 국내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지역인 울산과 인천지역에서의 수출물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며, 유류는 주요 정유공장이 위치한 인천항, 대산항 등의 처리물량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철재의 경우는 광양항의 수출물량과 고현항으로 반입되는 연안물량이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27.6% 감소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