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기자의 눈] 은행의 직원 평가시스템 손질… 증권사도 배워라


입력 2020.02.28 07:00 수정 2020.02.28 06:16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라임 투자자 “원금보장 안전상품이라며 판매...투자자 기망” 분노

실적압박이 불안정한 영업문화 만들어...고객중심 KPI 개선 필요


규모 투자 손실이 우려되는 라임사태와 관련해 은행·증권사 등 판매사의 불완전판매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라임자산운용

“증권사 PB가 분명히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이라고 강조했고, 고위험 사모펀드라는 언급은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대규모 투자 손실이 우려되는 라임사태와 관련해 은행·증권사 등 판매사의 불완전판매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A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의 추천을 받아 라임운용 펀드에 가입했다는 투자자 B씨는 “100% 안전한 담보 펀드라고만 했지, 증권사의 총수익스와프(TRS) 대출을 사용한 펀드라서 손실이 날 수 있다는 얘기는 해주지 않았다”고 말했다.투자자 C씨도 “대형 증권사 자산관리 전문가가 ‘고객자산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환매가 가능하다’고 해서 그 말을 믿은 것 뿐”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금융사들은 펀드를 불법 운용한 라임에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는 입장이다. 많은 이해 관계자들이 얽혀 있는 가운데 모든 회사가 “우리도 라임에게 속은 피해자”라는 주장만 되풀이 하면서 금융당국의 분쟁조정도 쉽지 않게 됐다. 일부 회사는 상품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불완전판매 문제에 대해 “본사는 상품의 정보를 충분히 고지했다”며 PB에게도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동안 연이은 사모펀드 부실 사태로 판매자들의 도덕성과 역량 부족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불완전판매 근본 원인은 금융사들의 과도한 경영 압박에 있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단기적인 실적 압박이 불안정한 영업 문화를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불완전판매를 부추기는 시스템과 직결된 문제”라며 “PB들이 판매 목표를 채우기 위해 상품의 위험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고객을 설득하는 경우가 생긴다”고 했다.


일부 금융사는 본사 차원에서 불완전판매를 은폐·조장한 정황이 발견돼 금감원이 전면 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이들이 PB들을 압박해 펀드 판매를 종용한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더 큰 파장이 예상된다.


이미 증권사들은 도의적 책임을 외면한 채 중간에서 잇속만 챙기려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라임운용의 펀드를 판매한 금융사들의 수수료 수입은 600억원에 육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라임운용이 고객 돈 1조6000억원가량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에 닥쳤을 때도 증권사들은 이자 명목의 수수료를 수십억원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라임 사태는 직접 책임을 물을 당사자들이 모두 잠적하거나 교체된 상태다. 이제 남은 것은 자금 회수를 둘러싼 진흙탕 공방뿐이다. 수익 추구에 눈먼 금융사들과 이들을 방치한 금융당국의 합작은 최악의 금융 스캔들로 기록될 전망이다. 업계 스스로 불완전판매 관행과 단절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앞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 시중은행은 실적 중심의 핵심성과지표(KPI)를 손질했다. 증권사들도 경영진의 근본적인 인식 전환과 함께 KPI를 바꿔 고객 중심의 영업장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