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융당국, 저축銀 가계대출 옥죈다…관련 통계 요구


입력 2021.08.01 09:21 수정 2021.08.01 09:21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신용대출, 高DSR 비중 등 확인 전망

대출 점검 주기, 주 단위 축소 예정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가계대출 관련 통계를 요구하며 증가세에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에 제동을 건다. 최근 제2금융권의 대출 잔액이 급증하자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현황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모니터링을 강화해 추가 증가세를 잡아내자는 취지에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저축은행들에 가계부채 관련 통계를 오는 5일까지 제출하라고 주문했다. 주요 요구 내용은 ▲신규 지급 대출액 ▲건수 ▲고소득자 신용대출 비중 ▲고(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비중 등이다.


우선 당국은 저축은행에서 1억원이 넘는 금액의 신용대출을 받은 소비자 가운데 소득이 8000만원 이상·이하인 차주의 대출 비중을 확인할 방침이다. 아울러 DSR이 70%·90%이 넘는 차주 비중과 투기과열지구의 주택을 담보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의 비중 등을 확인하기 위한 의도도 포함된다. 전세대출은 집계에서 제외됐다.


업계에서는 최근 당국이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과도하다며 연일 경고장을 날린데 이어 직접적인 상황 관리에 한층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주담대, 고소득자 신용대출 등과 관련한 수치를 요구했다는 점에서 1금융권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를 확인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올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율이 연 환산 8∼9% 수준이라며, 애초 목표 증가율인 연 5∼6%를 맞추려면 하반기에는 연 3∼4%대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당국은 저축은행, 농협 상호금융 등에서 가계대출 증가폭이 급증한 것으로 보고 기관 관리에 주력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올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폭을 잡기 위해 이번 대책과 함께 2금융권 가계대출 점검 주기를 기존 분기, 한 달 단위에서 주 단위로 축소해 관리할 방침이다.


앞서 금감원은 이달 초부터 2금융권 금융사·협회와 면담을 진행했다. 이 가운데 올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율이 지나치게 높은 저축은행 7곳과 규모가 큰 저축은행 7곳의 대표와의 개별 면담은 지난주까지 이어졌다.


이미 금감원은 지난 5월 각 저축은행에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작년과 같은 21.1%로 관리하라는 지침을 보낸 만큼 이번 면담에서도 적극적인 대출 축소 움직임을 주문한 것으로 분석된다.


당국은 이 같은 개선안에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규제와 별도로 대출 총량 한도 축소, 검사 등 가능한 방안을 총동원해 대출 증가세를 옥죌 방침이다.


은성수 위원장은 7∼8월 가계대출 증가 수치를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비은행권에 60%로 적용되고 있는 개인별 DSR 한도 규제를 은행권의 40%와 일원화하는 방안을 조기에 적용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1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롯데캐슬 2021.08.01  03:15
    마곡 롯데캐슬 르웨스트
    분양가, 청약일정, 청약방법 등 안내도와드리겠습니다.
    강상민 차장 070-8098-9080
    https://blog.naver.com/rkdtkd92/222439561135
    0
    0
1 개의 댓글 전체보기